채권(2)
-
금리와 인플레이션의 관계, 채권을 사고 파는 원리 [경제 상식]
금리가 낮으면 인플레이션이 발생한다 경제 이야기(기본편)/송병건 153p 네, 이자율이 낮을수록 사람들이 돈을 더 쉽게, 많이 빌린다는 얘기잖아요 맞습니다. 그렇게 시중에 돈이 많이 풀리고, 투자나 소비 같은 경제활동이 활발해지면 경기가 좋아질 수 있어요. 돈에 '빚'이라고 쓰여 있는 게 아니니, 누군가가 빌려서 쓴 돈은 누군가에겐 재산이 될 수도 있고 아니면 투자 자금이 되어 주식시장이나 부동산 시장에 투입될 수도 있죠. 하지만 유통되는 돈의 양이 늘어나는 일과 별개로 자산이나 상품은 한정돼 있으니 자연스럽게 물가가 오릅니다. 금리 인상은 인플레이션을 잡는 브레이크다. 금리(이자율)이 낮을수록 사람들인 은행에서 돈을 쉽게 빌릴 수 있다. 즉 저금리는 시중에 유통되는 통화량이 빠르게 늘어나게 만든다. 그..
2024.04.19 -
경제용어를 배워보자, 모라토리움 와 디폴트 그리고 채권의 뜻 ,경제 이야기 [도서 리뷰]
저자소개(송병건-성균관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요즘 주목하는 주제는 동서양을 아우르는 세계화의 역사다. 학술 연구 외에도 저술과 강연, 방송활동 등을 통해 대중과 소통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을 기울여 왔다. 특히 비주얼 자료를 활용해 어려운 경제를 쉽게 스토리텔링하는 방식을 좋아한다. 주요 저서로는 저자는 경제학적 이론적인 부분에 집중하기보다 세계사(역사)와 경제를 연결해서 설명을 한다. 저서에서도 볼수 있듯이 세계화라는 말이 포함되어 있다. 경제라는 어려운 개념을 세계사라는 커다란 이야기를 통해서 풀어서 설명하는 것이다. 저자의 관점에 동의를 하는 부분이 많이 있다. 경제라는 것은 수학적이고 절대적인 법칙으로만 쉽게 풀수있는 문제는 아니라는 부분이다. 경제라는 것은 인간과의 관계에서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 ..
2024.04.12